본문 바로가기

경제

장위동 의류봉제공장 실태 및 육성방안 모색(서울신문)

오래전(2011년) 창조산업 팀장으로 재직시 지역 제조산업을 활성화 발전시키는데 일조하고자 시작하였던 봉제산업 실태조사 오랫만에 찾아보니 감회가 새롭다. 

뒤를 이어 업무를 잘 유지발전하여 가고 있는 모습를 보면 나름 자부심을 갖게된고 후배들에게도 감사드린다.

 

“도시형 제조업 의류봉제산업 육성 모색”

 

김영배 성북구청장, 장위동 봉제사업지역 실태조사

 

“봄부터 가을까지 벌어서 겨울을 나야 하는데, 올해 일감이 적어서 어떻게 내년을 기약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이상범 대상프린트 사장)

“장위동 봉제산업협의체라도 꾸리면 동대문시장하고 가격을 협상할 때 유리할 것 같다.”(박경남 VS 사장)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지난 13일 장위동 의류봉제사업 밀집 지역을 방문해 직접 실태조사에 나섰다. 지난 7월 기초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인 지역의 ‘중소 영세사업장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성북구 제조업체를 중심으로’의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고, 대화로 구체화할 참이었다.

 

▲ 김영배(왼쪽) 성북구청장이 지난 13일 장위동의  봉제공장  VS 박경남 사장과 봉제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을 토론하고 있다.

장위·보문·월곡동은 동대문·남대문시장에서 주문받은 여름용 면티셔츠를 만들거나 원단에 무늬를 프린트하는 등 의류봉제 사업장이 많다. 영세한 나머지 사장 이하 5~6명의 직원이 봄여름에는 장시간 노동을 한다.

하지만 가을과 겨울로 들어서면 반나절 일감도 없어서 고통받는다. 계절적 요인으로 물량이 줄어도 공장과 직원들을 놀릴 수 없어 단가인하 경쟁을 하며 제살 깎기 식으로 주문을 따올 수밖에 없다. 그렇다 보니 사장이나 직원들은 가난을 뚫고 나올 길이 막막하다.

 

이곳 사장들은 구청장을 만나 “선거도 끝났는데 어쩐 일로 찾아왔느냐.”고 묻기도 했다. 선거 때가 아니면 돌보지 않을뿐더러 구청장이라도 장위동 사람들에게 해줄 게 없지 않으냐는 질책이기도 했다. 단체장으로서는 뼈아픈 지적이다.

 

김 구청장은 “서민과 자영업자, 특히 남대문·동대문시장의 배후 지역으로 의류봉제산업 종사자가 많다.”며 “성북구에서 도시형 제조업으로 의류봉제산업을 키울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또 장위동 의료봉제사업장들이 지역에 적잖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전통시장인 장위동 시장을 먹여 살린다는 것은 확실하기 때문에 더욱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장위동에는 1970~1980년대 청계천 봉제공장에서 일하다 은퇴한 뒤 재취업한 분들이 많다.”면서 “행정과 정책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에게 힘을 주고 싶은데 서로 다른 이해와 요구 때문에 접근하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1000년 고도인 일본 교토에서는 닌텐도·출판·봉제·술 산업을 세계 최첨단이라고 했다.”면서 “이들이 지역의 기존 산업을 최첨단으로 변모시켰듯 성북구도 패션·디자인 산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생산기지로서의 기술력을 가진 도시형 제조업을 육성해 발전시켜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현재로서는 인력 수급을 원활하게 하고자 각 단지마다 구인광고 게시판을 만들거나 기술 발전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의 구상을 하고 있다. 4대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사업주와 직원들을 지원하는 방안도 찾고 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장위동 의류봉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