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와 현대문화 연결의 문제(베르너 사세-한양대 석좌교수)
제4기 향부숙 제5차 교육 --- 지역브랜드의 창조와 브랜드 경영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연결의 문제 (베르너 사세 -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2011. 7. 1)
- 한양대학교 국제문화대학 문화인류학과 석좌교수
- 유럽 한국학협회 회장
- 2010년 우리나라 무용가 홍신자씨와 인생 70세에 황혼 결혼
- 1992~2006.09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교수
한국인 보다 한국역사를 더 잘 알고 연구하고 있는 귀화한 독일인
비르네 사세 교수의 강의를 듣고 일부 발췌하여 보았다.
1. 현실과 역사관
○ 시간의 흐름 : 과거에서 현재 미래로 흐름
○ 역사(관)은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를 재인식하고 미래를 재해설
○ 한국(학생들) 역사에 관심이 없는 것 같다.
- 대학수능시험에 국사 선택학생들 10%를 넘지 못한다.
- 5급 공무원 공채시험과목에서 배제되고 있다.
○ 국사지식의 필요성
- 심리적 : 전통과 국사지식이 자아의 뿌리이다.
→ 미국화 서양화가 너무 심함
→ 단일문화로 다문화를 부일정하는 경향이 있다.
- 정치적 : 주변국 역사도 알아야 한다.
· 중국와 한국 : 고구려 문제
· 일본과 한국 : 교과서 왜곡문제, 독도문제
2. 문화의 이해
○ 문화란(사전적)
- 학문이 나아가서 사람이 깨어 발게 함.
- 형벌이나 위력보다도 문덕으로써 백성을 가르쳐 인도함.
-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이상을 실현하려는 인간과정 또는 성과.
특히, 예술·도덕·종교·제도 따위 인간의 내면적·정신적 활동의 소산을 말함.
○ 동·서양의 문화
- 서양 : 문화(culture)
· 경작, 농사
· 사람의 힘으로 자연발육을 바람직한 발육으로 경작
· 자연현실을 원하는 상태로 바꾸는 것
- 동얀 : 문화(文化)
· 문(文), 지식, 세련된 태도 등
3. 한국문화의 현재 : 신구 사회의 충돌 시대
○ 전통 농업사회(마을생황) 현대 산업사회(도시생활)
○ 집단읫과 개성의식
○ 유일관념(유교)과 다(多 )관념
○ 국내경제와 국제경제
○ 동양문화와 동서양 혼합문화
4. 국제적인 문화시민으로서 극복해야할 한계들
1) 전통을 새롭게 이해해야 함
- 계급정신의 근본 : 三綱 五倫
→ 전통적인 해석은 지배계급 위주로 곡해하고 있음
※ 원 유교적 해석으로는 계급적이 아닌 수평적으로 해석해야 함
2) 한국문화와 이웃나라의 문화 관계
- 한국과 중국의 안정 정정과 불안정 정정시대 비교
· 당나라 : 통일신라, 발해
· 오대(五代)10국(十國) : 후백제, 후고구려, 태봉, 마진
· 송, 원 : 고려
· 명, 청 : 조선
3) 역사관 --- 세대(시대) 미디 다른 역사관
- 단군문화설의 상징
※ 단군에 대한 중요한 문헌들
· 삼국유사(1281) 고려말기
· 제왕운기(1287) 고려말기
· 세종실록(1452) 세종
· 규원사화(1675)
- 단일민족설에서 생긴 문제
· 한민족은 단일민족이라고 함.
· 발생되는 문제점
→ 단일민족읙에 근거 순혈 : 혼혈 구분법이 박혀 있음
→ 한민족 우월주의가 내재되어 있음
→ 인종차별이 유발되기도 함
- 한민족은 이민족 혈통을 포함 함
· 여러 이민족의 혈통이 포함되어 있음
→ 한인(漢人) : 삼국(사국)시대부터
→ 몽고인 : 고려시대
→ 만주,여진인 : 고구려, 발해
→ 일본인
→ 기타 남방인
4) 유일문화의 정확한 의미
- “우리”문화에 있는 성분은
다른 문화에 없고 원래부터 “우리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화에서 들어오는 문화 성분들로 :“우리”문화에 알맞게 개박하는 것
예) 설농탕, 김치
5) 한국의 기원에 단일성은 없다 → 남방계통과 북방계통
- 삼국시대 아닌 사국시대임(가야 포함시켜야)
→ 삼국시대 700년 중 550년은 4국 시대였음
- 한국역사의 새로운 견해
· 다문화 교육에는 우리의 역사를 보는 태도를 바꾸어야 함
· 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는 우리문화의 조상문화 임
· 오늘날 “우리역사”의 개념은 고려부터 임
4. 다문화 국가
○ 한민족은
- 단일민족이 아니고,
- 다문화 나라이다.
○ 다문화는 국제 다문화와 국내 다문화로 구분
- 국제 다문화 : 한국문화와 다른나라 문화
- 국내 다문화
· 지리적 다문화(전라, 경상, 경기 등 지역문화)
· 사회적 다문화(계급, 여성, 나이, 교육 등등)
○ 고유문화 안의 여러 문화
- 도시 : 시골문화
- 전통 : 현대문화
- 노동자 : 상류사회 문화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