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백두대간 지명의 유래와 변천사 [本文] 이 글은 백두대간(남한구간)을 3차에 걸친 답사와 이론으로 접했던 산경표와 고지도에 나타난 옛지명과 현지명의 변천에 대해 알아보면서 역사속에 묻혀 버린 옛 지명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자 작성하였다.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의 지명과 변천사 1.백두대간의 이해 2.문헌에 나타나는 백두대간 3.산경표의 백두대간 4.고지도의 백두대간 5.산경표와 고지도에 나타나는 백두대간의 상이 6.山, 峰, 岳, 臺, 德, 嶺, 峙의 차이 ... 7.옛 지명과 현 지명의 비교. 1.白頭大幹의 理解 ①백두대간은 우리의 영산인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한반도의 중심부를 지나는 산줄기로 태백산에 이르러 해안선을 따라 낙동정맥을 보내고 남으로 뻗어가는 산줄기는 소백산.속리산.덕유산을 연 이여 낳으며 지리산에 이르러 脈을 다하니 조선시대의.. 더보기 이전 1 다음